경제

한은토큰이 무엇이고 향후 진행 방향 알아보기

부자야놀자 2025. 4. 12. 21:59
반응형

한은토큰(HANU Token)이란?


한은토큰은 한국은행이 발행을 추진 중인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의 일환으로, 기존의 현금 및 전자지급수단을 보완하기 위한 디지털 원화 실험 프로젝트에서 등장한 개념입니다. 이는 민간이 활용 가능한 토큰형 디지털 화폐로, 한국은행이 직접 발행하고 유통 구조는 민간 금융기관과 협력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한은토큰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작동하며, 주된 목적은 디지털 환경에 최적화된 안전하고 효율적인 결제수단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기존의 전자지급수단과는 달리, 국가가 보증하는 법정화폐라는 점에서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을 지니며, 향후 디지털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개발 및 실험 배경


2020년대 들어 세계 주요 국가들이 앞다투어 CBDC 개발에 착수하면서, 한국은행 역시 2020년부터 디지털화폐 도입 가능성을 검토해 왔습니다. 2021년부터는 실제 CBDC 모의실험이 시작되었고, 2023년에는 ‘CBDC 유통망 모형’을 활용한 테스트에서 ‘한은토큰’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습니다.

한은토큰 실험은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1. 은행 중심 유통 구조 실험

한국은행이 한은토큰을 발행하면, 이를 민간은행에 공급하고, 소비자는 민간은행을 통해 토큰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기존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디지털화폐를 도입하는 현실적인 모델로 평가받습니다.

2. 스마트 계약 및 DLT 기반 응용 서비스 실험

한은토큰은 단순한 결제 수단을 넘어,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조건부 지급(예: 자동 임금 지급, 보조금 분배), 탄소배출권 거래, 기부금 관리 등에 응용할 수 있습니다.

한은토큰의 특징

1. 법정화폐 기반

한국은행이 직접 발행하므로, 일반 암호화폐와 달리 가치가 안정적이며 정부 신뢰에 기반합니다.

2. 토큰형 디지털화폐

계좌 기반이 아닌 ‘토큰형’으로, 소유와 전송이 블록체인 상에서 가능해 개인 간(P2P) 거래가 용이합니다.

3. 프로그래머블 머니(Programmable Money)

스마트 계약 기능을 통해 사용 용도나 조건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어, 특정 정책 집행이나 자동화에 효과적입니다.

4. 거래 익명성 및 보안

익명성과 추적성의 균형을 고려해 설계 중이며, 범죄 악용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기술적 장치도 함께 연구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한은토큰은 아직 정식 발행되지 않았지만, 한국은행은 다각도의 실험을 거쳐 정책 방향을 조율 중입니다. 2024년에는 금융권과 함께 CBDC 유통망 실험 확대 및 실사용 테스트가 추진되었고, 이는 향후 공공 부문에서의 도입을 가늠하는 중요한 시금석이 될 것입니다.

한은토큰은 단순한 디지털 화폐가 아니라, 디지털 경제 인프라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효율적 복지지급, ESG 정책 이행, 공공자금의 투명한 관리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갖추고 있으며, 향후 한국형 디지털 경제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